생명의 탑 내부
MABIK
MABIK NEWS
MABIK NEWS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의 다양한 소식을 전하다
# 우리나라 동해, 신규 해양생명자원 100종 새롭게 발굴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2022년 수행한 ‘해양생명자원조사’ 사업을 통해 동해에서 새로운 해양생명자원 100종을 포함한 950종(2,571점)의 해양생명자원을 확보했다. 이중 해양미세조류*의 일종인 오돈텔라 아우리타(Odontella aurita)는 오메가-3** 등 기능성 소재를 생산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특허를 출원, 염도 변화에 내성이 높은 버클리야 루틸란스(Berkeleya rutilans) 등 향후 생리학적 연구나 산업적으로 활용 가능한 자원도 다수 확보하였다.
*대부분 하나의 세포로 이루어져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는 광합성을 하는 작은 생물
**인체에서 합성되지 않는 필수지방산으로 혈행 및 기억력 개선 등 효과가 있는 기능성 소재

오돈텔라 아우리타(Odontella aurita)

버클리야 루틸란스(Berkeleya rutilans)

엑사칸토마이시스속, 신종후보(Exacanthomysis sp.)
# 국내 최초 밤수지맨드라미 인공 증식 성공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국내 최초로 인공 증식에 성공한 해양보호생물 밤수지맨드라미* 폴립* 300개를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 연안에 2022년 10월 방류했다. 연구진은 밤수지맨드라미의 난자와 정자를 실험실에서 인공적으로 수정하여 유생을 확보하고, 최적 사육조건과 먹이생물을 제공하여 2개의 폴립 단계까지 키워 방류한 것이다. 밤수지맨드라미의 자연방류는 조하대에 서식하는 무척추 해양보호생물에 대한 첫 증식·복원 시도로 그 의미가 매우 크다.
* 밤수지맨드라미는 해양보호생물 및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된 국가보호종으로 제주도 남부 연안을 대표하는 연산호로 밤송이를 닮아 붙여진 이름이며 주로 수심 5~20m에서 군락을 이루며 살아간다.
* 폴립은 산호의 가장 작은 단위로 여러 개의 폴립이 모여 산호의 군체를 이룬다.


# 희귀 신종 해양미생물, 지아잔틴을 발견하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서해 바닷물에서 눈 건강 예방과 항산화 효능이 탁월한 천연색소 지아잔틴을 생산하는 희귀 신종 해양미생물을 발견하고 배양에 성공해 지난해 12월 특허를 출원, 산업적 활용을 촉진할 계획을 밝혔다. 지아잔틴은 자외선(UV)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고 퇴행성 안구 질환 치료에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특허명: 지아잔틴을 포함하는 사불릴리토리박터 TSW2101 균주 및 이를 이용하는 지아잔틴 생산 방법(출원번호:10-2022-0168701)

희귀 신종 미생물 TSW2101균주의 배양체 사진

희귀 신종 미생물TSW2101균주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

희귀 신종 미생물 TSW2101균주의 지아진틴 색소 흡광도

희귀 신종 미생물TSW2101균주의 지아잔틴 색소 추출물
# 콧속 염증 질환 치료에 탁월한 괭생이모자반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해조류 ‘괭생이모자반’에 비용종(콧속 물혹)*과 축농증**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효능이 있음을 발견하고, 특허 등록을 완료. 2025년까지 바이오기업 등에 괭생이모자반 비용종 효능 특허를 양도하여 의약 소재로 상용화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 비용종(Nasal polyps) : 코 내부 점액을 분비하는 점막이 비강내로 돌출한 것
** 축농증(부비동염) : 코 주위의 얼굴 뼛속에 있는 빈 곳인 부비동에 생기는 염증으로 만성 부비동염은 비용종 질환에 의해 동반되는 경우가 많음

괭생이모자반 표본

국내 서식지내 생육모습

괭생이모자반 비용종 효능 시험 결과 : 염증유도물질((TGF-β)에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각 농도별(30, 50, 100㎍/㎖)로 투여한 결과 비용종 유발인자인 Fibronectin 발현이 정상세포 수준(NT)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
# 블루카본 탄소흡수원 해양생물 도서 발간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주요 해양생물의 탄소함량 정보 등을 수록한 ‘블루카본 탄소흡수원 해양생물 제1권’을 발간하였다. 본 도서는 해양생물 50종에 대한 탄소전환계수*와 해양생물 21종에 대한 탄소 정보를 수록했다. 기관 고유사업과 국가연구개발사업(R&D)을 통해 ‘블루카본 실증지원센터’의 건립 지원을 위한 임시조직(TFT)을 구성하여 도서 발간을 위한 연구를 지속해 나갈 예정이다.
* 탄소전환계수: 해양생물이 가진 무게를 탄소량으로 바꿔주는 수치

# 해양곰팡이 유래 농약 항균 소재 발굴
전 세계적으로 10억 달러 이상의 경제적 손실을 입히는 ‘세균성 식물병’은 식물이 세균에 감염되는 질병이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농약 후보소재인 톨루퀴놀을 생산하는 해양곰팡이인 페니실리움 그리세오풀붐(Penicillium griseofulvum)의 배양액이 식물병을 일으키는 다양한 세균에 대해 항균 활성이 있는 것을 확인. 지난 3월 6일 특허를 출원하였다.

농약 후보소재인 톨루퀴놀을 생산하는 해양곰팡이 페니실리움 그리세오풀붐(Penicillium griseofulvum) 균주
# 해양 유래 비건 화장품 개발을 위한 첫발 내딛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해양 바이오소재 활용과 산업화 촉진을 위한 기업 공동연구 사업을 시작하기로 하였다. 자원관은 기업 연계형 실증연구를 기반으로 소재 상용화 기술개발, 제품화, 기술 사업화 등을 해나갈 예정이다. 과제는 총 3개로 해조류 유래 식물성 PDRN 생산공정 개발 및 실용화, 괭생이모자반을 활용한 친환경 바이오 소재 개발 그리고 기능성 기초화장품 개발을 위한 해양유산균, 미세조류 기술 연구이다.
# 국립해양생물자원관과 ㈜라비오 업무협약 체결
지난 3월 6일 국립해양생물자원관과 주식회사 라비오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미생물, 미세조류 등 해양 바이오소재 연구개발을 위한 해양생명자원 및 정보의 활용, 해양생명자원 연구개발을 위한 협동 연구 및 기술정보 교류, 해양바이오 소재 전문인력 양성 및 인적 교류, 해양바이오 개발 및 사업화를 위한 장비나 시설의 공동 활용 등에 대해 상호협력을 도모하기로 한 것이다.


# 해양바이오산업 기술이전 계약체결식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지난 3월 6일 해양생명자원의 유용성을 검증한 기술개발 결과를 산업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해양바이오 관련 4개 기업에 공공기술을 이전하는 계약체결식을 진행했다. 4개 기업은 ㈜큐비엠, ㈜JDK바이오, ㈜아쿠아진텍, ㈜라비오이며, 디톡스 건강 기능성 원료 소재, 기능성 화장품 및 식품원료, 미세조류 분자 동정 키트 등을 개발하여 2023년부터 해양바이오산업 제품들을 생산 및 중점 판매할 계획이다.


# 김기웅 서천군수 방문
지난 3월 13일 김기웅 서천군수가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을 방문하여 해양바이오뱅크, 해양생물 수장고 등 자원관 내 주요시설을 확인하였으며, 전략사업 추가발굴과 정부 예산 확보, 해양바이오기업 유치 등 상생발전을 위한 대화 시간을 가졌다.


# 바이오 플라스틱 기술 동향 워크숍 개최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지난 3월 14일 대강당에서 해양 생태계 플라스틱 오염에 대응하기 위해 ‘바이오 플라스틱 기술 동향’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날 워크숍에서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남해연구소 심원준 책임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바이오화학연구센터 신기영 선임 연구원, 한양대학교 상병인 교수, 군산대학교 신계화 교수, 부경대학교 박수봉 교수 등이 참석한 가운데 주제발표 및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 ONE TABLE ONE FLOWER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지난 3월 15일 서천 지역 화훼농가 살리기에 동참하기 위하여 NH 농협 장항지점과 공동으로 ‘One Table One Flower’ 화훼 소비 촉진 캠페인을 개최하였다. 이날 국립해양생물자원관과 NH농협은행 장항지점은 프리지어 꽃다발을 구입하여 출근하는 임직원에게 배부하는 동시에 독거 어르신 및 거동이 불편한 이웃에게 배부하기 위해 행정복지센터에 전달하였다.

# 국립해양생물자원관과 국립해양과학관 업무협약 체결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지는 3월 15일 해양수산생명자원 및 해양과학기술분야의 발전을 목적으로 국립해양과학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이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해양수산생명자원분야와 관련한 정보를 교류하고 시설·장비 등을 공동으로 활용하는 등 해양 문화 확산을 위한 양질의 협력을 도모하기로 하였다.

# 우리 가족 바다 실험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2023년 가족 대상 주말 프로그램인 ‘우리 가족 바다 실험실’을 운영하고 참가 가족의 신청을 받기 시작했다. ‘우리가족 바다 실험실’은 서천갯벌 탐사, 마린 아티스트 체험, 탄소중립 실천, 플랑크톤 관찰, 터치 코딩 연계 활동 등 다섯 가지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4월부터 8월까지 프로그램별로 월 2회 운영된다.
*자세한 안내는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누리집(www.mabik.re.kr)>교육참가>교육소식 또는 네이버 예약 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해양생물 톡톡톡 – 유용 해조류 뜸부기를 아시나요?
‘제18회 박사님과 함께하는 해양생물 톡톡톡’이 3월 25일 13시, 15시 양 회차 씨큐리움 1층 해양생명홀에서 개최했다. 해양생물 톡톡톡은 연구자가 해양생물 이야기와 연구 성과를 관람객과 함께 소통하는 토크 콘서트이다. 이번 연구자는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생태보전실 정승욱 박사로 초등학생을 동반한 가족을 초대해 뜸부기라는 해조류에 대한 설명을 비롯 직접 만져보는 오감 체험 그리고 뜸부기를 활용해 액자 제작체험 등 함께 소통하는 시간을 가지며 토크 콘서트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