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탑 내부

MARINE
잇_다 : 전통지식과 해양바이오

수려한 외모 속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옛 민초와 현 인류를 위한 꽃 ‘해당화’

. 편집부

해당화는 험준한 환경에서도 강인하게 자라는 꽃으로, 매년 5월부터 10월까지 우리나라 바닷가 전역에서 피어나며 아름다움을 선사한다. 다른 꽃들과는 달리 해당화는 꽃과 열매를 동시에 피우며 계절에 구애받지 않는다. 또한, 이 꽃은 고운 색과 형상을 가진 아름다운 식물로 사람에게 이로운 귀한 약재이기도 하다. 그러나 해당화는 예로부터 특별한 상징성이 없어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꽃은 아니었다. 하지만, 옛 문인들은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해당화의 아름다움을 시로 읊었고, 민중에게는 삶 가까이에서 과실로서 혹은 약으로서 유용히 활용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의 자생꽃으로 조용히 바닷가 한켠을 아름답게 물들이며, 무한한 해양바이오적인 가치를 품은 해당화의 역사와 가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출처: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출처: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출처: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출처: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화려한 꽃으로 바닷가를 수놓은 해당화

명사 일대 바닷가는 온통 해당화 천지인데 鳴沙一帶海棠洲
늙은 원님 게을러서 나가지 못하니 어떡하나 老守其如懶出遊
담 아래 핀 가지 몇 개 꽃이야 다를 게 없으리니 墻下數枝花色是
흰 물새와 성근 비는 멀리서 그 풍류 맛보련다 白鷗疎雨領風流

– 최립崔岦, 해당화海棠

해당화는 문학작품이나 노래의 가사 등에 흔히 등장하는 식물이다. 그러나 개나리, 철쭉류와 달리 바닷가에서 주로 자라기 때문에 실물을 보기는 어려운 편이다. 그렇기에 해당화는 친숙한 듯하면서도 동시에 낯선 식물일 것이다.
‘매괴화’ 라고도 불리우는 해당화는 장미과에 속한 낙엽소관목으로 건조하고 해풍이 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라며, 별다른 관리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다양한 교배종이 있어 다채로운 색상을 가지고 있으며, 관상 가치도 뛰어나다.
해당화의 높이는 1.52m의 낙엽관목으로 습성적으로 근관에서 흡지와 근경을 내어 밀집된 군락을 형성한다. 그리고 직립하는 줄기는 황갈색이며 많은 가시와 자모*를 가지고 있다. 잎은 어긋나며 소엽*의 크기는 1.56cm로 타원형이고, 어두운 녹색으로 털이 없으며 주름진 엽맥이 녹색의 배면을 가지고 있다. 꽃은 직경이 69cm이고, 꽃받침은 잎 모양을 띠는 형태를 가지며, 꽃잎은 적색 또는 백색이다. 열매는 항아리 모양을 이루고 적색으로 변하며, 수과*는 황갈색이고 난형으로 각져 있으며 크기는 46mm이다.

* 자모 : 가시털
* 소엽 : 겹잎을 이루는 작은 잎
* 수과 : 나무의 열매

정유부터 약재까지… 다재다능한 꽃

해당화는 중동과 유럽에서는 다마스크장미나 센티폴리아장미와 같은 향료와 약재로 사용되었다. 동아시아에서도 해당화와 교배종의 꽃을 향기로 사용했으며, 궁중에서는 해당화의 꽃을 따서 향낭에 넣는 등 활용되었다. 해당화는 향기가 오래도록 주변을 맴돌았기 때문에 ‘배회화’라는 별칭이 붙었다. 프랑스에서는 장미 정유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해당화를 정유용 재배품종에 사용했다. 또한, 해당화는 식료품으로도 사용되었는데, 차나 술, 시럽 등으로 활용되었으며, 중국에서는 해당화의 꽃잎을 설탕과 함께 찧어 매괴장이라는 시럽을 만드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했다. 그리고 해당화는 약재로도 사용되었으며, 주로 꽃을 활용하여 폐와 비장을 이롭게 하고, 간장과 담장을 도왔으며, 정신을 상쾌하게 하는 효과도 널리 알려져 있다. 해당화는 뿌리껍질을 이용하여 갈색이나 회색 계열의 염료를 얻기도 했는데, 민간에서도 열매와 꽃을 혈액순환 증진이나 불면증을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약용으로 사용해 왔다.

필적할 수 없는 향기롭고 귀한 약재

해당화 꽃은 향기가 진하면서도 맑고, 온화하면서도 강렬하지 않아 예전부터 향수원료로 사랑을 받아 왔으며 뭉친 기운을 풀어주는 데는 효과가 빠르면서도 온순하여 필적할만한 방향성 약재가 없을 정도라는 평을 얻은 귀한 약재다. 해당화는 성질이 따뜻하고 맛이 달면서 약간 쓴데 뭉친 것을 풀어주고 어혈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어서 관절염이나 생리불순, 각혈이나 토혈, 이질이나 설사, 화농성 유선염, 종기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피부 주름 개선과 멜라닌 색소침착 방지, 노화 억제, 항염효과, 콜레스테롤 수치 조절, 대사증후군 억제, 해열 및 진통 작용, 당뇨병 치료와 혈당 조절, 강력한 항산화 작용, 간 보호 작용, 혈당 조절에 도움을 주는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해당화는 다양한 질병으로 인한 통증 완화와 관절염 증상 개선에도 효과적이다.

해당화의 바이오 화장품 소재 활용

해당화는 화장품 소재로 잠재적인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피부 노화 여부를 결정하는 활성산소가 과다하게 생성될 시 노화와 관련된 다양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해당화꽃 추출물은 콜라겐분해효소(collagenase)의 활성과 전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인 IL-6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 세포외기질인 콜라겐(collagen)은 피부의 탄력과 주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불어 해당화꽃 추출물은 멜라닌 합성과 수지상돌기의 형성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해당화꽃 추출물이 항산화, 주름개선, 항염증, 멜라닌생성 억제와 같은 기능성을 가지고 있음에 대한 방증이며, 화장품 소재로 활용될 수 있는 높은 가치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질병을 악화시키는 신경 세포 전달 물질

염증성 장 질환, 아토피, 골다공증 치료제

국내 한 연구원은 해당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염증성 장 질환, 아토피, 골다공증 치료제 기술을 개발 선보였다.
해당화 꽃 추출물로 면역 질환 주요 원인 물질인 ‘IL-6’ 전달을 방해, 각 질환에 대한 탁월한 치료 효과를 발견한 것이다. 기존에도 해당화 과육을 활용한 사례가 있었지만, 이 경우 독성이 문제가 됐다. 꽃 추출물은 열매보다 독성이 적으면서 효과는 더욱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 독성이 없고 식용 가능한 천연물 유래 소재로 부작용 없이 활용할 수 있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해당화 추출물로 천연화장품 시제품 제작

출처: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출처: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해당화 추출물을 활용하여 천연화장품을 개발해 냈다. 자원관 응용연구실 연구진은 2016년 해당화의 항산화 효능을 밝혀냈고, 이 결과를 활용하여 ‘해당화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누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 특허를 출원, 2017년에 수행, 2019년에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
이후 자원관은 항산화, 항균, 항염증 효능이 있는 비누 시제품이 호응을 얻자 당해 연도에 보습 기능이 강화된 핸드크림과 스킨미스트, 에센스 3종을 시제품으로 제작하였다.

해당화 차의 제조 및 효능

해당화의 꽃은 꽃봉오리가 피려 할 때 몇 번에 나눠 따서 약한 불에 신속하게 말린다. 말릴 때는 꽃을 넓게 펴서 얇게 해야 잘 마르는데 꽃부리가 아래로 향하게 한다. 햇볕에 말린 꽃은 색깔이나 향기가 약해진다. 꽃이 갓 핀 것은 수술을 따서 버리고 말려야 한다. 또 열매는 늦은 여름에서 초가을 사이에 익으면 따서 꽃꼭지와 열매꼭지를 따서 버리고 햇볕에 말린다. 해당화를 그늘에 말려 차로도 마신다.

출처: 셔터스톡(Shutterstock)
출처: 셔터스톡(Shutterstock)

해당화의 식재법

해당화는 정원에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주로 화단에 집단으로 심거나 생울타리용으로 사용되며, 해안지대에서는 해풍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아름다운 꽃과 다양한 품종으로 조화로움을 선사한다. 해당화는 연중 관상적 가치를 갖는 식물로 늦봄부터 초가을까지는 꽃, 여름부터 초겨울까지는 열매, 겨울철에는 가지로 아름다움을 제공한다. 또한, 해당화는 구조적 식물로서 경관의 틀을 구성하고 감상의 초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숙근초와 함께 심어 리듬감을 주거나 겨울철 정원에서 밀도와 무게감을 실어 흥미를 유발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해당화는 건축물의 기초를 가리기 위한 기초 식재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새들이 열매를 먹기 때문에 생태 정원에서도 활용가치가 있다. 땅속줄기와 흡지가 많이 발생하여 경사지에서도 다양한 용도로 식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참고 자료

https://blog.naver.com/dongmu61/30174560887
https://muhsk1.tistory.com/619
https://sometimeslove.tistory.com/entry/%ED%95%B4%EB%8B%B9%ED%99%94-%ED%9A%A8%EB%8A%A5-%EB%B6%80%EC%9E%91%EC%9A%A9-%EB%A8%B9%EB%8A%94%EB%B2%95
https://www.koreantk.com/ktkp2014/thesis/thesis-view.view?ctrlNo=HHRRB4_2014_v31n4_188
https://www.etnews.com/20201103000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