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탑 내부
MABIK
MABIK NEWS
MABIK NEWS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의 다양한 소식을 전하다
세계 아동•청소년 폭력 근절 릴레이
#ENDviolence 캠페인 동참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최완현 관장은 지난 3월 세계 아동·청소년 폭력 근절 릴레이 #ENDviolence 캠페인에 동참하였다. #ENDviolence 캠페인은 지역분쟁과 기후위기, 코로나 등에 의해 폭력에 노출된 아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유니세프(UNICEF)와 함께 시작된 글로벌 SNS 캠페인이다. 최완현 관장은 국립수산과학원 우동식 원장의 추천을 받아 캠페인에 동참한 뒤 다음 주자로 군산대학교 이장호 총장을 추천했다.

봄맞이 안전점검 실시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유해 요인을 선제적으로 차단하여 무사고 실현을 위한 시설 관리를 목적으로 지난 3월 30일~31일 양일간 봄맞이 안전점검을 집중 실시하였다.
이에 씨큐리움을 비롯한 내·외부 환경 정비를 비롯해 지하 저수조 내부 청소, 노후시설 도색 정비 등 세세한 부분까지 체크해 해빙기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인을 사전에 확인하고 순차적으로 개선 조치해 나갈 예정이다.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3년 연속 최고 등급 달성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기획재정부가 주관하는 2022년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에서 3년 연속 최고 등급을 달성했다. 이 조사는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의 향상을 위해 매년 실시하는 설문조사로써 고객에게 직접 만족도 수준을 평가한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이에 보답하기 위해 앞으로도 새로운 환경과 요구에 대응하여 차별화된 해양생물 자원 활용 및 전시·교육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개관 8주년 기념행사, ‘MABIK, 8주년 8로우’ 개최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개관 8주년(4월 20일)을 맞이하여 4월 17일부터 19일까지 3일간 ‘MABIK, 8주년 8로우’ 기념주간 행사를 개최하였다.
8주년 기념행사는 코로나19로 침체되었던 분위기를 쇄신하기 위한 목적으로 직원들이 직접 머리를 맞대 기획 진행한 것이었으며, 지역사회와의 상생협력을 위해 지역 내 사회적 경제기업들과 함께 상생장터도 운영하였다.
개관기념식은 최완현 관장의 기념사와 함께 지난 8년간의 성과를 자축한 뒤 미래의 청사진을 그려보는 시간을 가졌다. 더불어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직원에 대한 포상과 씨큐리움 관람객의 8주년 축하영상도 상영되었다.


제13회 국제의약품•바이오산업전 참가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해양바이오뱅크의 산업화 소재 지원 입지를 확대하기 위해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된 ‘제13회 국제의약품·바이오산업전*’에 참가하였다. 4월 18일부터 21일까지 진행된 이 산업전에서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해양바이오뱅크** 디오라마를 통해 해양생물 자원 확보에서 산업화까지의 과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획 전시하였으며, 해양생물 천연소재를 이용한 사업화 성공사례를 전달하고 산업계 종사자 및 경영인과 정보를 공유하여 해양바이오 소재의 시장 확대와 해양바이오뱅크 활성화 방향을 모색하였다.
* 국제의약품·바이오산업전은 국제제약·화장품위크(ICPI WEEK)의 구성 전시회 중 하나로 의약품·바이오 분야의 생산이나 공급의 연쇄적 과정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제약·바이오산업 박람회이다
** 해양바이오뱅크(https://biobank.mbris.kr)는 접근이 어려운 바다라는 공간적 특성상 해양바이오소재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기관, 대학 등에 제품개발에 필요한 유용소재를 발굴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로, 2018년부터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이 그 역할을 수행해 오고 있다. (산업적 활용이 가능한 추출물, 유전자원, 미생물, 미세조류 등 4개 분야 운영)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에서 노화 방지 효능 성분 발견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중국 연안에서 제주 바다 등으로 대량 유입되어 해양 환경을 훼손하고 양식장 시설을 파손하는 등 바다의 불청객으로 불리던 괭생이모자반을 바이오 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2017년부터 연구를 진행해왔다.
그리고 다년간의 연구 결과 지난 4월 17일 ‘괭생이모자반 항산화 조성물’ 특허를 완료하였다. 이번에 추출한 로리오라이드[(-)-Loliolide]는 주로 해조류나 식물에서 유래되는 물질로 C형 간염 바이러스 침투 억제 등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항산화* 효능 검증을 위해 산화 처리된 제브라피쉬에 25ppm의 로리오라이드를 투여한 결과, 산화 유도 인자인 ROS(Reactive oxygen species, 활성산소) 생성을 정상인 제브라피쉬 수준으로 억제하는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화학물질,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체내의 과잉 활성산소를 억제 또는 제거하여 세포의 손상 및 노화를 방지

갈조류 ‘미끈뼈대그물말(Dictyopteris divaricata)’ 비만 예방 효능 발견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수심 5m 이내의 얕은 바다 암반에서 자라는 갈조류 ‘미끈뼈대그물말’의 추출물에서 지방 축적 억제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고, 지난 4월 25일 특허 출원을 완료했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미끈뼈대그물말 추출물의 지방전구세포(3T3-L1)*를 활용한 세포를 실험한 결과 지방 및 중성지방의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전지방세포의 지방 생성 전사인자** 및 지방산 운반 단백질 발현이 억제되는 것으로 보아 비만 예방 물질로 활용될 가능성을 보게 되었다.
* 지방전구세포(3T3-L1) : 지방세포로 분화되기 이전의 세포라는 의미를 가지며 지방세포로 분화시켜 지질을 축적시킨 뒤 실험하는 현상을 말함
** DNA의 특정부위에 결합하여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단백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