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탑 내부
MABIK
FOCUS
염생식물 ‘새섬매자기’,
미백 및 주름 피부개선 효능 발견
새섬매자기는 우리에게는 다소 낯설게 느껴지는 염생식물입니다. 그러나 이 식물은 낙동강하구에 겨울철새 생태거점을 복원하기 위하여 식재하는 주요 염생식물이기도 합니다. 새섬매자기는 땅속에서 자라나는 덩이줄기가 있는데, 이 줄기는 겨울 철새인 고니류의 중요한 먹잇감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새섬매자기에서 우리 인간에게도 도움이 되는 효능을 발견해냈다고 합니다. 천연물자원실 오건우 박사를 만나 새섬매자기의 효능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봅시다.


Q1. 새섬매자기라는 식물이 조금 낯설게 느껴지는데요. 어떤 식물인지 설명해주세요.
새섬매자기는 내염성이 강한 여러해살이풀로서 우리나라 충남, 보령 등 서해안의 바닷가 습지나 물가에서 자라는 염생식물입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염생식물이란 염분이 많은 곳에서도 자랄 수 있는 식물을 말합니다. 이러한 새섬매자기는 새로운 효능을 발견하기 전에는 새의 먹이로 주요한 역할을 하였고, 덩이줄기는 약용으로 활용되기도 하였습니다.
Q2. 새섬매자기의 형태적 특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다른 염생식물과 가장 크게 구분되는 점은 괴경입니다. 괴경은 식물의 땅속에 있는 줄기 끝이 양분을 저장하여 크고 뚱뚱해진 덩이 모양을 이룬 땅속의 줄기를 뜻합니다. 주로 감자나 튤립 등에서 볼 수 있습니다.
7~9월에는 새섬매자기의 열매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이 열매는 갈색으로 익으며 타원 형태로, 거꾸로 된 달걀 모양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Q3. 이번에 발견하신 새섬매자기의 효능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천연물자원실 연구팀에서 새섬매자기 추출물 효능 연구를 진행한 결과 해당 추출물이 항산화 효능을 가진 것을 확인했습니다. 또한 미백과 연관된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활성 감소 연구에서는 미백제로 사용되는 알부틴과 유사한 억제 활성을 보이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주름개선과 연관된 콜라겐분해효소(Collagenase) 활성 감소 연구에서는 기존 효능이 입증된 물질보다 우수한 감소 효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사진출처 – 국립생물자원관

Q4. 새섬매자기와 같은 미백, 주름개선, 항산화 효능을 가진 식물들은 주로 화장품 개발에 많이 사용되는데요. 그렇다면 새섬매자기 추출물을 통한 화장품 개발도 가능할까요?
네, 가능합니다. 화장품 개발에 필요한 효능들을 분석하여 해당 새섬매자기 추출물이 피부개선물질로 활용될 가능성을 확인하였습니다. 새섬매자기 추출물은 해양바이오뱅크를 통해 기업이 제품개발에 활용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있으며, 국립해양생물자원관과 기업 간 공동연구를 통해 고부가 화장품 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입니다.
Q5. 기업에서 제품 개발을 위하여 새섬매자기 추출물을 분양받기 위한 절차를 알려주세요.
화장품 제조에 활용되는 추출물 등 소재는 해양바이오뱅크 누리집(www.mbris.kr/biobank)을 이용하여 누구나 분양받을 수 있습니다.
Q6. 마지막으로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새섬매자기의 추출물이 상용화 될 수 있도록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 말씀해 주세요.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에 효능이 있는 새섬매자기 추출물이 어떤 물질들로 이루어져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지표성분 및 유효성분 분석·분리 등 해양바이오산업에 활용될 수 있도록 연구를 지속할 계획입니다.
또한 해양바이오산업에 활용될 수 있는 소재 발굴을 위해 해양생물소재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